맨위로가기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서 경상북도 경주시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 국도 제68호선으로 신설될 예정이었으나, 재정 부족으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 1996년 지정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충청남도 서천군, 부여군, 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상주시, 구미시,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포항시, 경주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 의성 나들목
    의성 나들목은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14번 교차로로, 1995년 개통되었으며 국도 제5호선 및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과 연결된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 경북대로
    경상북도 칠곡군에서 대구광역시 군위군까지 이어지는 경북대로는 여러 시·군을 연결하며 중앙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등과 연결되고, 가산초등학교, 의성소방서,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등의 다양한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 금산군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금산군의 교통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충청남도 금산군까지 287.8km에 걸쳐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잇는 국도로, 1971년 지정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쳤으며 완도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다.
  • 영동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영동군의 교통 - 추풍령역
    추풍령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한 경부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급수탑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북종단열차 운행과 무궁화호 정차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 사무관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로 종류국가지원지방도
노선명서천 ~ 경주선
노선 번호명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총 연장386.722km
기점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주요 경유지충청남도 서천군
충청남도 부여군
충청남도 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남도 금산군
충청북도 영동군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북도 구미시
대구광역시 군위군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북도 청송군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경주시
종점경상북도 경주시 용강동
주요 교차 도로경부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영천상주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
지방도 제501호선
지방도 제505호선
지방도 제601호선
지방도 제613호선
지방도 제617호선
지방도 제625호선
지방도 제635호선
지방도 제643호선
지방도 제697호선
지방도 제723호선
지방도 제799호선
지방도 제901호선
지방도 제904호선
지방도 제908호선
지방도 제912호선
지방도 제913호선
지방도 제916호선
지방도 제923호선
지방도 제927호선
지방도 제930호선

2. 역사

1994년 '장항 ~ 영일선'이라는 이름으로 '''국도 제68호선'''을 신설하기로 계획되었던 도로가 시초이며, 당시 연장은 253km로 정해져 있었다.[1] 그러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며 구상된 노선은 폐기되지 않고 경상북도 경주시까지 연장해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1] 2006년 기점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으로 연장했다가[8] 2008년 연장 구간이 국도 제4호선으로 승격되면서 다시 본래 노선으로 환원되었다.[9]


  • 1996년 7월 19일 :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 경상북도 경주시 구간을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 서천 ~ 경주선'''으로 지정[1]
  • 1999년 8월 23일 : 서천군 마서면 도삼리 ~ 장항읍 장암리 8.55 km 구간 개통[2]
  • 2001년 9월 22일 :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상옥리 ~ 청하면 유계리 5.47 km 구간 개통[3]
  • 2002년 6월 1일 : 안덕교(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1.07 km 구간 재시공 개통[4]
  • 2002년 6월 25일 : 소보우회도로(군위군 소보면 송원리) 900m 구간 개통[5]
  • 2002년 7월 27일 : 2002년 12월까지 연무 나들목 일대 확장을 위해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신화리 1.21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6]
  • 2005년 1월 20일 : 금산군 금산읍 중도리 ~ 제원면 명암리 3.8 km 구간 확장 개통[7]
  • 2006년 12월 21일 : 기점을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에서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으로 연장해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 군산 ~ 경주선'''으로 노선 변경[8]
  • 2008년 1월 3일 : 기점이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에서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으로 환원되어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 서천 ~ 경주선'''으로 변경[9]
  • 2008년 2월 17일 : 안강 ~ 현곡간 도로(경주시 안강읍 갑산리 갑산IC ~ 현곡면 금장리 금장교) 14.052 km 구간 확장 개통[10]
  • 2008년 12월 23일 : 안강 ~ 현곡간 도로(경주시 안강읍 안강리 안강IC ~ 갑산리 갑산IC) 2.732 km 구간 확장 개통[11]
  • 2008년 12월 26일 : 충청북도 구간 도로구역 지정[12]
  • 2009년 8월 24일 : 달산 도로(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500m 구간 선형개량 개통[13]
  • 2011년 1월 10일 : 옥성 ~ 선산간 도로 1공구(구미시 옥성면 덕촌리 ~ 선산읍 이문리) 3.9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43 km 구간 폐지[14]
  • 2012년 4월 27일 : 금산IC ~ 충북도계 도로건설공사에 의해 영동군 양산면 가선리 1.12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2012년 5월 11일 : 옥성 ~ 선산간 도로 2공구(구미시 선산읍 봉곡리 ~ 포상리) 1.5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7 km 구간 폐지[16]
  • 2014년 9월 11일 : 금성 도로(의성군 금성면 산운리 ~ 수정리) 1.1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2 km 구간 폐지[17]
  • 2014년 12월 31일 : 강경 ~ 연무간 도로(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신작리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안심리) 8.4 km 구간 개통[18]
  • 2015년 1월 30일 : 강경 ~ 연무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논산시 강경읍 채산리 ~ 연무읍 안심리 5.72 km 기존 구간 폐지[19]
  • 2017년 7월 11일 : 금산IC ~ 충북도계간 도로(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2.97 km, 영동군 양산면 가선리 1.12 km) 구간 임시 개통[20][21]
  • 2018년 4월 20일 : 금산IC ~ 충북도계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총 1.84 km 구간 폐지[22]
  • 2018년 11월 20일 : 가야곡 ~ 양촌간 도로(논산시 양촌면 모촌리 ~ 거사리) 2.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논산시 양촌면 모촌리 490m 구간 폐지[23]

2. 1. 1990년대

2. 2. 2000년대

2. 3. 2010년대

3. 주요 경유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 화양면 - 한산면) - 부여군 (양화면 - 임천면 - 세도면) - 논산시 (강경읍 - 채운면)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망성면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 가야곡면 - 양촌면 - 벌곡면) - 금산군 (진산면 - 금성면 - 금산읍 - 남일면 - 부리면 - 제원면) -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 학산면 - 양강면 - 영동읍 - 황간면)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 공성면) - 구미시 (무을면 - 선산읍 - 옥성면 - 선산읍 - 도개면)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 군위읍)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 의성읍 - 금성면 - 가음면 - 춘산면) - 청송군 (현서면 - 안덕면 - 현동면 - 부남면 - 포항시 북구 (죽장면 - 신광면 - 청하면 - 신광면) - 경주시 (안강읍 - 현곡면)

3. 1. 충청남도

3. 2. 전북특별자치도

3. 3. 충청북도

3. 4. 경상북도

3. 5. 대구광역시

3. 6. 경상북도

4. 노선

4. 1.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서부 지역)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에서 시종점인 장암지하차도에서 시작하여, 장항해양사무소에서 지방도 제611호선(장마로)과 교차하고, 원수삼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77호선(대백제로)과 교차한다. 이후 김인전공원에서, 하구둑사거리에서 국도 제21호선(금강로), 국도 제29호선(장산로)과 교차하며, 옥포사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장산로)과 다시 교차한다. 한산면 신성리에서 지방도 제613호선(신성로)과 교차하고, 부여군 양화면 황골사거리에서 지방도 제723호선(백제로)과 교차한다.[24]

양화초등학교 교차로 및 만사삼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충절로)과 중복된다. 세도면에서는 새울고개를 지나, 논산시 강경읍 황산삼거리에서 금백로와 교차하고, 강경중학교앞 교차로에서 국도 제23호선(강경로)과 중복된다.[24]

2014년 이전에는 (채산리 회전 교차로)에서 황산삼거리를 거쳐 대흥교, 강경읍사무소, 강경과선교, 산양사거리, 제내교를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4. 2.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wikitext

이름[24]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망성 교차로국도 제23호선
(익산대로)
익산시망성면국도 제23호선과 중복
(교량)
신작 교차로지방도 제799호선
(여강로)


4. 3.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동부 지역)

한국폴리텍대학 바이오대학입구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채운1교와 채운 교차로를 거친다. 채운 교차로에서는 동안로 경주 방면 진입이 불가하며, 서천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다.[24] 강경천교를 지나 평촌 교차로에서 동안로와 다시 만난다.[24] 연무 나들목(연무IC 교차로)에서는 논산천안고속도로와 연결된다.[24] 화정 교차로를 지나 여러 교량을 건너 심암사거리에서 연은로와 교차한다.[24]

연무읍 안심리에서는 동안로와 만나고, 연무회전교차로에서는 안심로 및 동안로857번길과 연결된다.[24] 연무시외버스정류장과 연무여중사거리를 지나 동산 교차로에서 국도 제1호선 (득안대로)과 교차한다.[24] 논산 나들목(논산IC사거리)에서는 호남고속도로지선과 감바위로가 연결된다.[24]

가야곡면 구간에서는 가야곡농공단지를 지나 노래골삼거리에서 매죽헌로와 만나고, 야촌사거리에서 지방도 제643호선(원앙로)과 교차한다.[24] 육곡교와 육곡삼거리를 거쳐 가야곡면사무소, 강청교, 가야곡초등학교, 가야곡중학교를 지난다.[24] 강청사거리에서는 가야로와 교차하고, 함산초등학교(폐교)와 신흥교를 지난다.[24]

양촌면 구간에서는 신흥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97호선(황산벌로)과 중복된다.[24] 웅천교 북단에서 지방도 제697호선과 분기하고, 양촌 나들목(모촌 교차로)에서 호남고속도로지선 (하이패스 전용)과 연결된다.[24] 양촌초등학교 장원분교(폐교)를 지나 덕목터널(연장 125m)을 통과한다.[24]

벌곡면 구간에서는 한덕삼거리에서 대둔로와 만나고, 한삼천교와 벌곡중학교(폐교)를 지난다.[24] 덕곡삼거리에서 매죽헌로와 교차하고, 도산초등학교를 지난다.[24] 제2향정교를 지나 진산면으로 이어진다.[24]

진산면 구간에서는 태고사삼거리(청림동로), 두지삼거리(실학로)를 지나 갑암교를 건넌다.[24] 진산삼거리에서 국도 제17호선(대둔산로)과 중복되어 읍내삼거리, 진산초등학교, 진산합동정류소, 진산면 행정복지센터, 진산파출소, 금산하이텍고등학교, 진산중학교, 읍내리 교차로(당디로)를 지난다.[24] 방축삼거리에서 국도 제17호선과 분기하고, 방축교를 건넌다.[24] 부암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35호선(휴양림로)과 중복되어 부암교를 지나고, 부암사거리에서 지방도 제635호선과 분기한다.[24] 이후 만락교, 만악초등학교(폐교)를 지나 소란재를 넘는다.[24]

금성면 구간에서는 금성면 행정복지센터, 금성초등학교, 상가교, 도곡삼거리(잔실길, 파초길), 양전교, 이슬공원 교차로(무금로), 금산생활체육관을 지난다.[24]

금산읍 구간에서는 주공2단지(비단로), 아인사거리(비호로), 박금교, 금산우체국(인삼로), 우체국사거리(국도 제1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금산로)를 지난다.[24] 금산초등학교, 금삼교사거리(회전교차로, 비단로), 중도교, 중도오거리(국도 제37호선, 무금로, 인삼광장로), 금산경찰서를 지나 인삼터널(연장 100m)을 통과한다.[24]

제원면 구간에서는 창평 교차로(창평로)에서 시작하여 금산 나들목(통영대전고속도로)과 연결된다.[24] 기사대교, 명암삼거리, 제원중학교, 제원우체국(제원로), 제원삼거리(지방도 제601호선, 군북로)를 지나 제원교를 건넌다.[24] 제원대교 남단에서 지방도 제601호선(용화로)과 분기하고, 제원대교를 건너 천내 교차로를 지난다.[24] 천내터널(연장 142m)을 지나 원골 교차로(금강로)와 연결되고, 천내교를 건넌다.[24] 부엉산터널(연장 418m)과 가선교를 지난다.[24]

4. 4. 충청북도

가선 교차로에서 금강로와 접속하며, 양산초등학교 가선분교(폐교)와 호탄소교를 지난다. 모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01호선(갈기산로)과 중복되며, 호탄교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01호선(천태산로)과 분기한다. 양산초등학교를 지나 가곡삼거리에서 송호로, 양산삼거리에서 학산양산로와 교차하고, 원당교를 건너 원당삼거리에서 다시 송호로와 만난다.[24]

외마포교를 지나 외마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505호선, 금강로와 중복된다. 마포교를 지나 마포삼거리에서 학산영동로와 교차한다. 미봉교를 지나 묵정 교차로에서 국도 제19호선(영동로), 지방도 제505호선(용화양강로), 학산영동로와 교차하며, 지방도 제505호선,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다. 원동교를 지나 원동 교차로(원동육교)에서 학산영동로와 교차하며, 경주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고 서천 방면 진입은 불가능하다. 괴목교를 지나 괴목 교차로(괴목1교)에서 괴목산막로와 교차하고, 가동 교차로에서 괴목로와 교차하며, 경주 방면 진입은 불가능하고 서천 방면 진출은 불가능하다. 영동교를 지나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다.[24]

양가동 교차로에서 양정죽촌로와 교차하고, 영동 교차로(미개통)에서 국도 제4호선(난계로)과 교차할 예정이다. 매천 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9호선(난계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4호선, 국도 제19호선과 중복된다. 영동제3교를 지나 영동제3교삼거리에서 계산로2길과 교차한다. 영신중학교, 영동군보건소, 청주지방법원 영동지원, 청주지방검찰청 영동지청, 영동체육관, 영동군민운동장을 지난다. 매천삼거리에서 용두공원로와 교차하고, 영동소방서를 지난다. 조심교에서 산익길, 새심2길과 교차하고, 회동교와 주곡교를 지난다. 주곡삼거리에서 회동로와 교차하고, 신탄삼거리에서 신탄로와 교차한다.[24]

노근리 역사공원, 개근교, 영서를 지나 황간 나들목(황간삼거리)에서 (1호선)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마산삼거리에서 에넥스로, 하마산길과 교차하고, 옥포삼거리에서 지방도 제901호선(황간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4호선과 중복된다. 황간교삼거리에서 국도 제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지방도 제901호선(영동황간로)과 교차하며, 국도 제4호선, 지방도 제90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 황간교를 지나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되고, 남성삼거리에서 남성7길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901호선과 연결된다. 난곡교, 난곡소교를 지나 우매삼거리에서 우매길과 교차하고, 우매교를 지난다. 수봉재(해발 350m)를 넘어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24]

4. 5. 경상북도

경상북도 구간은 상주시, 구미시,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 포항시, 경주시를 지난다.

상주시 구간에서는 모동면 수봉재(오도치)에서 시작하여 신천삼거리까지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된다.[24] 공성면에서는 국도 제3호선지방도 제997호선과 교차하며, 지방도 제997호선과는 일부 구간이 중복된다.

구미시 구간은 무을면과 선산읍을 지나며, 선산읍에서는 중부내륙고속도로 선산 나들목과 연결된다. 2호광장 교차로와 1호광장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33호선, 지방도 제916호선과 만나며, 이 중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59호선과 일부 구간이 중복된다. 선산터미널을 지나 선산대교를 건너 도개면으로 이어진다.

군위군 구간은 소보면에서 지방도 제923호선과 중복되며, 군위읍에서는 국도 제5호선지방도 제927호선과 만난다. 이 중 국도 제5호선과는 의성군 봉양면까지 중복된다.

의성군 구간은 봉양면에서 국도 제28호선, 지방도 제927호선과 교차하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 의성읍에서는 국도 제5호선, 국도 제28호선과 분기하며, 비봉역 인근에서 국도 제28호선과 다시 중복된다. 금성면에서는 지방도 제927호선, 지방도 제930호선과 중복된다. 가음면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79호선과 중복된다.

청송군 구간은 현서면에서 국도 제35호선과 중복되고, 지방도 제930호선과도 일부 중복된다. 안덕면에서는 지방도 제908호선과 중복된다. 현동면에서는 국도 제31호선과 중복되고, 삼자현을 넘어 부남면으로 이어진다. 부남면에서는 국도 제31호선, 지방도 제908호선, 지방도 제930호선과 중복된다.

포항시 구간은 북구 죽장면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과 중복된다. 북구 청하면에서는 지방도 제930호선과 교차한다. 북구 신광면을 지나 경주시로 이어진다.

경주시 구간은 강동면에서 시작하여 안강읍을 지난다. 안강읍에서는 국도 제28호선과 중복된다. 현곡면에서는 지방도 제904호선과 교차하고 서경주역을 지난다. 황성동에서는 국도 제7호선과 교차하며, 황성지하도네거리가 종점이다.

5. 도로명

서천군 장항읍 장암리에서 화양면 옥포사거리 구간은 장산로, 옥포사거리에서 옥포리 구간은 옥포길, 옥포리 구간은 화한로로 지정되어 있다. 부여군 양화면 시음1리에서 시음2리 구간은 양화서로, 시음3리에서 양화초등학교 교차로 구간은 양화동로, 양화초등학교 교차로에서 임천면 만사삼거리 구간은 충절로로 지정되어 있다. 부여군 임천면 만사삼거리에서 논산시 강경읍 (회전교차로) 구간은 부흥로, (회전교차로)에서 망성도정공장 구간은 계백로로 지정되어 있다.

익산시 망성면 신작리에서 망성 교차로 구간은 익산대로로 지정되어 있으며, 망성 교차로에서 신작 교차로 구간은 강경 ~ 연무간 도로(도로명 없음)이다.

논산시 강경읍 채운리에서 채운면 평촌 교차로 구간은 강경 ~ 연무간 도로(도로명 없음)이며, 평촌 교차로에서 가야곡면 노래골삼거리 구간은 동안로, 노래골삼거리에서 육곡삼거리 구간은 매죽헌로로 지정되어 있다. 육곡삼거리에서 양촌면 신흥삼거리 구간은 덕은로, 신흥삼거리에서 웅천교 북단 구간은 황산벌로, 웅천교 북단에서 벌곡면 한덕삼거리 구간은 대둔로로 지정되어 있다. 논산시 벌곡면 한덕삼거리에서 도산리 구간은 수락로로 지정되어 있다.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에서 진산삼거리 구간은 태고산로, 진산삼거리에서 읍내삼거리 구간은 대둔산로, 읍내삼거리에서 진산파출소 구간은 읍내로로 지정되어 있다. 진산파출소에서 방축삼거리 구간은 대둔산로, 방축삼거리에서 금산읍 주공2단지 구간은 진산로, 주공2단지에서 금산우체국 구간은 오리정로로 지정되어 있다. 금산우체국에서 제원면 명암삼거리 구간은 인삼로, 명암삼거리에서 천내리 구간은 금강로로 지정되어 있다.

영동군 양산면 가선리에서 양강면 외마포삼거리 구간은 금강로, 외마포삼거리에서 마포삼거리 구간은 마포로, 마포삼거리에서 묵정 교차로 구간은 학산영동로로 지정되어 있다. 묵정 교차로에서 영동읍 영동 교차로 구간은 영동로, 영동 교차로에서 매천 교차로 구간은 난계로, 매천 교차로에서 황간면 황간교삼거리 구간은 영동황간로로 지정되어 있다. 영동군 황간면 황간교삼거리에서 수봉재 구간은 황간동로로 지정되어 있다.

상주시 모동면 수봉재에서 신천삼거리 구간은 중화로, 신천삼거리에서 상판교 구간은 중모로, 상판교에서 공성면 옥산리 구간은 웅산로로 지정되어 있다. 상주시 공성면 옥산리에서 평천리 구간은 남상주로, 평천리에서 구미시 선산읍 덕촌삼거리 구간은 상무로로 지정되어 있다.

구미시 선산읍 덕촌삼거리에서 1호광장 구간은 선상서로, 1호광장에서 도개면 신림리 구간은 선산대로로 지정되어 있다. 구미시 도개면 신림리에서 군위군 군위읍 군위교 구간은 도군로, 군위군 군위읍 군위교에서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 구간은 경북대로로 지정되어 있다.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에서 비봉삼거리 구간은 비봉길, 비봉삼거리에서 금성면 대리리 구간은 동부로로 지정되어 있다.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서 청송군 현서면 구산사거리 구간은 금성현서로로 지정되어 있다.

청송군 현서면 구산사거리에서 부남면 대전 교차로 구간은 청송로, 대전 교차로에서 솔마트 구간은 대전로로 지정되어 있다. 청송군 부남면 솔마트에서 포항시 북구 죽장면 먹방골 구간은 부남로로 지정되어 있다.

포항시 북구 죽장면 먹방골에서 상옥복지회관 구간은 죽장로, 상옥복지회관에서 상옥리 구간은 수목원로79번길로 지정되어 있다. 포항시 북구 죽장면 상옥리에서 청하면 서정삼거리 구간은 수목원로로 지정되어 있다. 포항시 북구 청하면 서정삼거리에서 경주시 강동면 달성네거리 구간은 비학로로 지정되어 있다.

경주시 강동면 달성네거리에서 안강읍 안강 나들목 구간은 안현로, 안강 나들목에서 안강 교차로 구간은 호국로로 지정되어 있다. 안강 교차로에서 현곡면 금장 교차로 구간은 형산로, 금장 교차로에서 용강동 황성지하도네거리 구간은 용담로로 지정되어 있다.

5. 1. 충청남도

5. 2. 전북특별자치도

5. 3. 충청북도

5. 4. 경상북도 및 대구광역시

참조

[1]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24호 국가지원지방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19
[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85호 http://theme.archive[...] 1999-08-23
[3]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1-254호 http://www.gb.go.kr/[...] 2001-09-27
[4]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2-168호 http://www.gb.go.kr/[...] 2002-06-17
[5]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2-243호 http://www.gb.go.kr/[...] 2002-08-26
[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167호 http://gwanbo.mois.g[...] 2002-07-27
[7]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05-54호 2005-01-20
[8] 간행물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대통령령 제19772호
[9] 간행물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지정령 대통령령 제20525호
[10]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8-118호 http://www.gb.go.kr/[...] 2008-02-25
[11] 간행물 경상북도공고 제2008-840호 http://www.gb.go.kr/[...] 2008-12-29
[12]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08-293호 http://cblib.cb21.ne[...] 2008-12-26
[13] 간행물 경상북도 공고 제2009-1061호 http://www.gb.go.kr/[...] 2009-08-24
[14] 간행물 경상북도 공고 제2011-17호 http://www.gb.go.kr/[...] 2011-01-10
[15] 간행물 충청북도고시 제2012-90호 http://ebook.cb21.ne[...] 2012-04-27
[16] 간행물 경상북도 공고 제2012-596호 http://www.gb.go.kr/[...] 2012-05-14
[17] 간행물 경상북도 공고 제2014-987호 http://www.gb.go.kr/[...] 2014-09-15
[18]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14-1202호 http://210.95.181.39[...] 2014-12-31
[19]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15–81호 http://210.95.181.39[...] 2015-01-30
[20]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17-938호 http://www.chungnam.[...] 2017-07-20
[21] 간행물 충청북도공고 제2017-850호 http://cblib.chungbu[...] 2017-07-21
[22]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18-648호 http://www.chungnam.[...] 2018-04-20
[23] 간행물 충청남도공고 제2018-1563호 http://www.chungnam.[...] 2018-11-20
[24]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